이진 탐색: 정렬되어 있는 리스트에서 탐색 범위를 절반씩 좁혀가며 데이터를 탐색하는 방법 - 이진 탐색은 시작점, 끝점, 중간점을 이용하여 탐색 범위를 좁혀간다 순차 탐색 : 리스트 안에 있는 특정한 데이터를 찾기 위해 앞에서부터 데이터를 하나씩 확인하는 방법 (ex: 선택 정렬에서 매 단계마다 가장 작은 값 찾기) 이진탐색의 시간 복잡도 단계마다 탐색 범위를 2로 나누는 것과 동일하므로 연산 횟수는 log2 N에 비례함. 예를 들어 초기 데이터 개수가 32일 때, 이상적으로 1단계를 거치면 16개가량의 데이터만 남음. 2단계 : 8개 가량 3단계 4개 가량 이진 탐색은 탐색 범위를 절반씩 줄이며, 시간 복잡도는 O(log N)을 보장함 #이진 탐색 소스코드 구현(재귀함수) def binary_searc..